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Art Plant Asia 2020

토끼Hare
방향Way
오브젝트Object

아트 플랜트 아시아
Art Plant Asia

아트 플랜트 아시아(Art Plant Asia)는 아시아 미술의 역량 강화, 외연 및 규모 확장을 위해 만들어진 ‘플랜트’(Plant)다. 특히 팬데믹이라는 전례없는 상황 속에서 이번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은 자연스레 기존의 관행과 가치에 대해 질문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

2019년을 기준으로 동아시아 3개 국가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4%,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더하면 이 수치는 30%를 상회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국제통화기금 2019년 통계) AP아시아는 이런 단순한 산술적 추론으로부터 아시아 미술의 현재를 직시하면서, 근거리 예술 교류를 통한 지역내 시각 문화의 활성화, 세계 미술의 균형있는 발전을 제안한다. 미술의 범주 안에서 전시-학술-시장의 고른 성장을 도모하며, 국내외 석학들의 비평적 시야를 교류하는 학술 세미나, 아시아의 주목할 만한 갤러리를 초대하는 갤러리 프레젠테이션 행사를 함께 진행한다.

Art Plant Asia is a “Plant” founded with the aim of bolstering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esence of Asian art and artists in the global art world. The Art Plant Asia 2020 in particular arose from the process of questioning conventional practices and values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crisis.

As of 2019, East Asia accounts for approximately 24% of the global economy, and including Southeast Asia, this figure exceeds 30%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 Starting from this simple statistic, APAsia confronts the present state of Asian art and advocates for a revitalization of its local visual culture through intercultural exchange in order to develop a more representative presence in the global art market. Art Plant Asia will host academic seminars where local and international scholars can exchange their critical viewpoints and presentation events with notable Asian galleries in order to foster an even growth across the three sectors in the arts (Exhibitions-Academia-Markets).

토끼 방향 오브젝트
Hare Way Object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주제전 《토끼 방향 오브젝트》는 지금 가장 인상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차세대 작가들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살핀다. 한국 근현대 미술의 거장들과 동시대 작가, 아시아 작가 총 33인의 작업이 덕수궁 전각, 행각, 야외를 무대로 전시된다.

근현대 방은 함녕전 행각의 일부를 이용해 한국 전후미술과 1970년대 미술을 새롭게 검토한다. 침략과 전쟁이라는 재난 이후 이성 대신 물질과 신체를 강조했던 현대미술의 동향은 과거의 영광스러운 기원에 대한 열망을 공감각적으로 표현했던 전후 박수근, 김환기 등의 작업과 공명한다. 근현대 방 1은 박수근과 주호회를 비롯한 그 주변 작가들을 파리에서 앵포르멜을 직접 경험한 김환기, 김흥수, 남관 등과 겹쳐두고, 이를 다시 동시대 작가 김혜련의 작업과 병치한다. 근현대 방 2에는 1970년대 등장한 이우환, 박서보, 윤형근, 김창열의 작품이 동시대 작가 김홍주의 극사실회화와 함께 놓인다. 단색화가 실재의 추구라는 문제의식을 무심한 반복을 통한 물아일체로 구현했다면, 같은 시기 김홍주는 세밀한 수공 작업으로 조선 초상화의 전신사조(傳神寫照) 전통을 재현함으로써 격물치지를 실천했다. 이들은 추상과 구상이라는 상반된 양식에도 불구하고 우주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성리학적 이념을 회화적 행위를 통해 드러냈다. 특히 김홍주는 전통이론과 서구이론, 엘리트미술과 대중미술, 담론과 실천 사이를 무작위로 횡단하면서 당대 현대미술의 흐름을 선택적이고 자의적으로 참조한 독특한 사례다.

한국 및 아시아 작가들의 동시대 미술 작품은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등의 전각, 그리고 함녕전 행각과 야외 공간에 자리한다. 기술적 진보와 이에 따른 욕망의 명암을 성찰하는 이불의 〈키아즈마〉(2005)를 포함해 정희승의 장미 연작 〈Rose is a rose is a rose〉(2016), 강서경의 〈둥근 유랑〉(2018~2019), 〈좁은 초원〉(2013~2018), 양혜규의 〈Sonic Obscuring Hairy Hug〉(2020) 등이 전시된다. 외국에서 온 사신과 손님이 머물렀다는 준명당에는 호추니엔(Ho Tzu Nyen)의 〈노 맨 II〉(2017)가 설치되어 인류가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낸 상상 속 존재들이 서성인다. 이 밖에 박경률, 박광수, 박정혜, 호루이안(Ho Rui An)과 로이스응(Royce Ng)의 작업, 슬기와 민의 새로운 ‘테크니컬 드로잉’ 시리즈가 관객을 맞는다. 고종이 커피를 즐기던 러시아식 건축물 정관헌은 정은영, 차재민, 김희천의 영상 작품을 상영하는 열린 극장으로 변주된다.

덕수궁의 장소적, 역사적 특성에 반응하며 제작된 커미션 작품들은 주로 야외 공간에 설치된다. 덕수궁 연못에 조각을 띄우는 구동희, 궁 내부 기물을 석탑 양식으로 복원하는 최고은, 해태로부터 영감을 얻어 상상의 동물을 디오라마 석재로 제작하는 정지현, 무용수의 신체와 기계의 시점을 활용해 덕수궁을 기록하고 표현한 안정주 + 전소정의 신작이 소개된다. 오디오 가이드 형식을 빌은 임영주, ‘입는 봉제 조각’을 대여하는 우한나의 작업은 관객들에게 익명의 타인과 임시적 연결 상태에 놓이는 경험을 은유적으로 제공하며, 오종과 이우성은 지난 활동의 연장에서 여백과 같은 덕수궁의 잉여 공간을 활용하거나 그 풍경을 실내로 끌어들이며 각각의 질문을 담은 신작을 선보인다.

이번 주제전시의 제목은, 덕수궁이 위치한 정동 쪽을 의미하는 옛말 중 하나인 ‘묘방’(卯方)과 인간중심지 바깥의 모든 객체를 지시하는 단어 ‘오브젝트’가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나열로 조합된 스크래블이다. 어쩌면 이것이 당대의 한국 미술 또는 아시아 미술의 모습일 수 있다는 가정과 함께 《토끼 방향 오브젝트》는 수수께끼의 군도처럼 존재하는 이들을 잇는다.

Art Plant Asia 2020’s main exhibition Hare Way Object centers around up-and-coming artists, who have demonstrated excellence in their recent practice, and examines the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Art. Hare Way Object will showcase the works of 33 artists comprising Korean Modern masters, contemporary artists of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 the main halls, corridors, and courtyards of Deoksugung Palace.

One section of the corridor of Hamnyeongjeon will be used to display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from postwar and 1970s Korea. The art tendency of the time, mainly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matter and body over reas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will resonate with the synaesthetic expression of postwar art by artists such as Park SooKeun and Kim Whanki who focused on the glorious origins of the past. In Modern and Contemporary room 1, works by Park SooKeun and other artists around the Joo-ho group will be displayed alongside those of Kim Whanki, Kim Heungsou, and Nam Kwan who directly witnessed the Arte Informale movement in Paris. These works will be juxtaposed by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 Kim Heryun. In Modern and Contemporary room 2, works of 1970s artists Lee Ufan, Park Seo-Bo, Yun Hyong Keun, and Kim Tschangyeul will accompany the hyperrealistic paintings of contemporary artist Kim HongJoo. While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embodies the philosophy “unity of object and ego” by means of absentminded repetition, contemporary paintings of Kim HongJoo achieves “the investigation of things”Confucian scholar Zhu Xi (1130–1200) advocat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致知)” as a method of self cultivation. through its elaborate representation of “vivid portrayal(傳神寫照),” a tradition behind Joseon Dynasty portraits. Despite the conflicting styles of figuration and abstraction, the artists in this hall unanimously practiced their Neo-Confucian ideology of investigating the cosmos through the act of painting. In particular, Kim HongJoo’s practice is a unique example of using the trends of Contemporary Art selectively and arbitrarily by freely navigating between traditional Korean theory and Western theory of art,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theory and practice.

The contemporary artworks by Korean and other Asian artists will be housed in the halls of Seogeodang, Junmyeongdang, Jeukjodang, the corridors of Hamnyeongjeon, and the outdoor courtyards. The exhibit works include Lee Bul’s Chiasma (2005), a reflection on technological progress and human desires; Chung Heeseung’s Rose is a rose is a rose (2016), a continuation of Chung’s rose portrait series; Suki Seokyeong Kang’s Rove and Round (2018–2019) and Narrow Meadow(2013–2018); Yang Haegue’s Sonic Obscuring Hairy Hug (2020); and others. Ho Tzu Nyen’s video installation No Man II (2017) will present digitally created figures based on a long process of imagination in human history within the hall of Junmyeongdang, which was originally designated for foreign envoys and guest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works of Park Kyung Ryul, Park Gwangsoo, Park Junghae, Ho Rui An, Royce Ng, as well as Sulki and Min’s “technical drawing” series will greet the audience from different parts of the palace. The Russian style Jeonggwanheon, a spot where Emperor Gojong occasionally had coffee,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pen theater for screening the works by siren eun young jung, Cha Jeamim, and Kim Heecheon.

The newly commissioned works displayed primarily in the outdoor courtyards echo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features of Deoksugung Palace. These works include Koo Donghee’s installation which will float on the Deoksugung Pond; Choi Goen’s reenactment of the palace interiors in the form of a pagoda; Jung Jihyun’s stone diorama of an imaginary animal inspired by haetae;A haetae is a mythical beast, often described as a unicorn lion. In ancient Korea, haetae was believed to be a guardian that fends off natural disasters. and An Jungju + Jun Sojung’s documentation / depiction of Deoksugung Palace through a dancer’s body and the perspective of a machine. Both IM Youngzoo’s work that adopts the audio guide method and Woo Hannah’s work which rents wearable sewing pieces to people, metaphorically provide the audience with a temporary experience of connecting with anonymous others. Furthermore, Jong Oh and Lee Woosung each present a piece based on their exploration of perspective by utilizing unoccupied “blank” spaces of Deoksugung Palace or transferring the outside scenery indoor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Hare Way Object is an arbitrary combination of “Hare Way(卯方),” an old term for the Jeongdong area in which Deoksugung Palace is located, and “Object,” a word that dictates all beings outside of mankind. Suggesting that this could portray Korean art or Asian art at large, floating apart from one another like an archipelago, Hare Way Object attempts to bridge the gaps.

토끼 방향 오브젝트 둘러보기

대한문

행각

석어당

정관헌

야외

미디어
Media

보도 자료 다운로드
배포 일시: 2020년 11월 9일
보도 자료 다운로드
배포 일시: 2020년 9월 28일
보도 자료 다운로드
배포 일시: 2020년 9월 23일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보도 현황

11월 19일

11월 16일

11월 8일

11월 6일

11월 5일

11월 1일

10월 30일

10월 29일

10월 28일

10월 27일

10월 26일

10월 25일

10월 24일

10월 23일

10월 20일

10월 7일

10월 5일

참여 작가
Artists

강서경 Suki Seokyeong Kang

강서경(b.1977)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영국 왕립미술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개인전 《검은자리 꾀꼬리》(필라델피아 현대미술관, 필라델피아, 2018)을 열었으며, 상하이비엔날레(상하이, 2018), 리버풀비엔날레(리버풀, 2018),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2016),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6), 빌라 바실리프(파리, 2016), 시청각(서울, 2015), 갤러리 팩토리(서울, 2013), 오래된집(서울, 2013) 등에서 전시에 참여했다. 2018 아트 바젤 발루아즈예술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 랄프 루고프가 총감독으로 기획한 58회 베니스비엔날레 《흥미로운 시대를 살아가기를》의 본전시에 참여했다.

Suki Seokyeong Kang (b.1977) studied Oriental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and Painting at the Royal College of Art, London. Kang is currently a professor of Korean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Recent exhibitions include a solo show titled Black Mat Oriole (ICA Philadelphia, Philadelphia, 2018) and participation in the 58th Venice Biennale, “May You Live in Interesting Times,” curated by Ralph Rugoff. Her work has been showcased in various venues including the 12th Shanghai Biennale (Shanghai, 2019); Liverpool Biennial (Liverpool, 2018);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6); Villa Vassilieff (Paris, 2016); Audio Visual Pavilion (Seoul, 2015); and CAN Foundation - Old House (Seoul, 2013). Kang was awarded the Baloise Art Prize in 2018.

구동희 Koo Donghee

구동희(b.1974)는 홍익대학교와 예일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소를 전공했다.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설치, 영상, 조각 등의 매체로 작품을 제작한다. 최근 개인전 《딜리버리》,(아트선재센터, 서울, 2019)를 열었고, 《Overwhelming Memories of Transcendental Approach》(페리지갤러리, 서울, 2018), 《CrossXPollination》(갤러리 로얄, 서울, 2016), 《밤도둑》(시청각, 서울, 2014), 《Extra Stimuli》(PKM갤러리, 서울, 2013), 《구동희》(두산갤러리, 서울, 2012)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4), 록번드미술관(상하이, 2018), 테이트모던(런던, 2015), 퐁피두센터(파리, 2011), 샤르자비엔날레(샤르자, 2017), 부산비엔날레(부산, 2010), 광주비엔날레(광주, 2004, 2008), 미디어시티서울(서울, 2012), 난징트리엔날레(난징, 2008) 등에서 다양한 작품을 선보여 왔다.

Koo Donghee (b.1974) studied Sculpture at Hongik University and Yale School of Art. Koo is based in Seoul and works with installation, video, and sculpture. Koo’s solo exhibitions include Delivery (Art Sonje Center, Seoul, 2019); Overwhelming Memories of Transcendental Approach (Perigee Gallery, Seoul, 2018); CrossXPollination (Gallery Royal, Seoul, 2016); Night Theft ( Audio Visual Pavilion, Seoul, 2014; Extra Stimuli (PKM Gallery, Seoul, 2013); and Koo Donghee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2). Koo’s work has also been introduced in venues such as Rockbund Art Museum (Shanghai, 2018); Sharjah Biennale (Sharjah, 2017); Tate Modern (London, 20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4); Centre Pompidou (Paris, 2011); Busan Biennale (Busan, 2010); Gwangju Biennale (Gwangju, 2004, 2008); Media City Seoul (Seoul, 2012); and Nanjing Triennale (Nanjing, 2008).

김희천 Kim Heecheon

김희천(b.1989)은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를 졸업했다.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개인전 《탱크》(아트선재센터, 서울, 2019), 《홈》(두산갤러리, 서울, 2017)을 열었다. 부산비엔날레(부산, 2020)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이스탄불비엔날레(이스탄불, 2017), 미디어시티서울(서울, 2016) 같은 비엔날레를 비롯,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9), ZKM(칼스루에, 2019), MCAD(마닐라, 2019) 등에서 열린 그룹전에 참여했다.

Kim Heecheon (b.1989) studied Architectur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ased in Seoul, Kim recently had his solo exhibitions Deep in the Forking Tanks (Art Sonje Center, Seoul, 2019) and HOME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7). Kim’s work has been included in Biennales such as the Busan Biennale (Busan, 2020);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Istanbul Biennale (Istanbul, 2017); SeMA Biennale Mediacity Seoul (Seoul, 2016); and group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6); ZKM (Karlsruhe, 2018);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Design (Manila, 2019) and many more.

박경률 Park Kyung Ryul

박경률 (b.1979)은 홍익대학교 회화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영국 런던 첼시예술대학교에서 순수예술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To Counterclockwise》(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20), 《왼쪽회화전》(두산갤러리, 서울, 2020), 《On Evenness》(백아트, 서울, 2019)(렁글리갤러리, 런던, 2018), 《A Meeting Place》(마담 릴리 갤러리, 런던, 2017), 《New Paintings》(사이드룸갤러리, 런던, 2017) 등의 개인전을 열었다. 이밖에 경기도미술관(안산, 2020), 문화역서울284 (서울, 2020), 일민미술관(서울, 2019), 마인 프로젝트(홍콩, 2019), 베이징 코뮌(베이징, 2019), 송은아트스페이스(서울, 2018) 등에서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2018년 송은미술대상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두산레지던시 뉴욕(2020),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2018),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2012)의 입주 작가로 선정되었다.

Park Kyung Ryul (b.1979) received a M.F.A. in Fine Arts from Chelsea College of Arts, London, and a B.F.A. and M.F.A. in Fine Arts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Park’s solo exhibitions include To Counterclockwise (DOOSAN Gallery New York, New York, 2020); To Counterclockwise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20); On Evenness (Baik Art, Seoul, 2019); A Meeting Place (Madame Lillie, London, 2017); and New Paintings (SIDE Room Gallery, London, 2017). Park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20);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2020);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9); Mine Project (Hong Kong, 2019); Beijing Commune (Beijing, 2019); SongEun ArtSpace (Seoul, 2018) and many more. Park was shortlisted for the SongEun ArtAward Grand Prize in 2018 and selected to participate in artist residency programs at DOOSAN Residency New York (2020), SeMA Nanji Residency (2018), and MMCA Residency Goyang (2012).

박광수 Park Gwangsoo

박광수(b.1985)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영 없으리》(학고재갤러리, 서울, 2019), 《흩날리는》(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8), 《부스러진》(두산갤러리 서울, 서울, 2017), 《좀 더 어두운 숲》(금호미술관, 서울, 2016) 등의 개인전을 개최했고,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서울, 2019), 금호미술관(서울, 2019), 아라리오갤러리, 하이트컬렉션,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열린 그룹전에 참여했다. 2016년 두산연강예술상과 종근당예술지상을 수상했다.

Park Gwangsoo (b.1984) received his B.F.A. and M.F.A. in Fine Ar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solo exhibitions include Nevermore (Hakgojae Gallery, Seoul, 2019); Windswept (DOOSAN Gallery New York, New York, 2018); CRACK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7); and A Bit More Darker Forest (Kumho Museum of Art, Seoul, 2016). Park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Seoul, 2019); Kumho Museum of Art (Seoul, 2019); Arario Gallery (Seoul, 2016); HITE Collection (Seoul, 2016);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5) and many more. Park was awarded the DOOSAN Artist Award and Chong Kun Dang Art Award in 2016.

박정혜 Park Junghae

박정혜 (b.1989)는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현재 서울에서 거주하며 작업한다. 개인전 《Xagenexx》(Onground2,서울, 2017), 《Dear. Drops》(아카이브봄, 서울, 2015)를 열었고,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7), 국제갤러리(서울, 2017),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서울, 2016), 일민미술관(서울, 2015), 부산비엔날레(부산, 2012) 등 다수 기관의 그룹전에 선보였다.

Park Junghae (b.1989) studied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Park is based in Seoul, and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Xagenexx (Onground2, Seoul, 2017) and Dear. Drops (Archive Bomm, 2015). Park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7); Kukje Gallery (Seoul, 2017);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2016);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5); Busan Biennale (Busan, 2012) and many more.

슬기와 민 Sulki and Min

슬기와 민(최슬기, 최성민)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팀이다. 2001년 미국 예일 대학교 대학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며 만났고, 네덜란드 얀 반 에이크 미술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한 후 2005년 서울에 돌아와 정식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홍콩 M+, 출판사 문학동네, 건축 사무소 매스스터디스 등과 협력하여 아이덴티티와 출판물을 디자인했다. 미술과 디자인을 아우르며 국내외 여러 전시에 참여했고, 2회의 개인전 《1,056 시간》(휘슬, 서울, 2020), 《Perigee 060421-170513》(페리지갤러리, 서울, 2017)을 열었다. 국내 주요 대학은 물론 미국 워커 아트 센터, 체코 브르노 국제 그래픽 디자인 비엔날레, 일본 오사카 미술대학교, 중국 중앙 미술 학원, 미국 예일 대학교,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대학교,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네덜란드 니우어 인스티튀트 등에서 강연과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최슬기는 계원예술대학교에, 최성민은 서울시립대학교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Sulki and Min (Choi Sulki and Choi Sung Min) is a graphic design collective based in Seoul. They met in 2001 while studying Graphic Design at Yale University. Their practice started in Seoul in 2005, after their positions as Researchers at the Jan van Eyck Academie in the Netherlands. Sulki and Min designed graphic identities and publications for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Asia Culture Center, BMW Guggenheim Lab, M+ Museum in Hong Kong, Munhakdongne Publishing, architecture firm Mass Studies and more. Sulki and Min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art and design exhibitions and had two solo exhibitions: 1,056 Hours (Whistle, Seoul, 2020) and Perigee 060421-170513 (Perigee Gallery, Seoul, 2017). Their work is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M+ Museum, Hong Kong; Cooper Hewitt Smithsonian Design Museum, New York; Musée des Arts Décoratifs, Paris; and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They have also lectured and taught at Walker Art Center, Minneapolis; International Biennial of Graphic Design Brno, Brno; Osaka University of Arts, Osaka; China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Beijing; Yale University, New Haven;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Providence; Central Saint Martins, London; and Het Nieuwe Instituut, Rotterdam as well as a number of renown Korean institutions. Currently, Seulki Choi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and Sung Min Choi is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Seoul.

안정주 + 전소정 An Jungju + Jun Sojung

안정주+전소정은 각각의 독자적 활동을 펼치고 있는 두 시각예술가로 영상과 음악 등 형식과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시도를 선보이고 있다. 《장미로 엮은 이 왕관》(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5), 《검은 밤, 비디오 나이트》(d/p, 서울 , 2018) 등의 단독 전시와 《비는 오지 않지만 우리에겐 우산이 있지》(광주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광주, 2015), 《망상의 산_허구적 마찰》(광주비엔날레, HIAP 파빌리온 프로젝트, 광주, 2018) 등 다수의 전시 및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
안정주(b.1979)는 서울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미디어아트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Loop》(두산갤러리, 뉴욕, 2016), 《행운의 편지》(두산갤러리, 서울, 2015), 《열번의 총성》(갤러리잔다리, 서울, 2013), 《정직한 사람》(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서울, 2012), 《Harmony-Lip Sync Project 2》(쿤스트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2009), 《Turn Turn Turn》(금호미술관, 서울, 2007)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9), 서울시립미술관(서울, 2019), 델피나파운데이션(런던, 2019),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아트스페이스 풀(서울, 2017) 등 국내외 다수의 전시에 참여했다. 2018년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2014년 두산연강예술상을 수상했다.
전소정(b.1982)은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미디어아트를 전공했다. 《AU MAGASIN DE NOUVEAUTES》(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20), 《Kiss me Quick》(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7), 《폐허》(두산갤러리, 서울, 2015), 《심경의 변화》(인사미술공간, 서울, 2010) 등의 개인전을 열고,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8), 빌라 바실리프(파리, 2017) 광주비엔날레(광주, 2016), 서울시립미술관(서울, 2015), 오사카 국립미술관(오사카, 2013), 리움 삼성미술관(서울, 2012) 등 국내외 다수의 전시에 참여했다. 제18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2016년 파리의 빌라 바실리프– 페르노리카 펠로우쉽, 2016년 광주비엔날레 눈 예술상을 수상했다.

An Jungju+Jun Sojung is a collaborative team, created by two independently practicing artists (An Jungju and Jun Sojung), that presents various attempts across formats and genres including video, music, and other mediums. Their solo exhibitions include This Rose-garland Crown (Atelier Hermès, Seoul, 2015); and Black Night, VIDEO NIGHT (d/p, Seoul, 2018); and, their group exhibitions and projects include It Is Not Raining but We Have an Umbrella (Asia Culture Center Theater, Gwangju, 2015); and Mountain of Delusion_Fictional Frictions (Gwangju Biannale, HIAP Pavilion Project, Gwangju, 2018).
An Jungju (b.1979) received his B.F.A. in Oriental Pain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is M.F.A. in Media Art from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An’s solo exhibitions include Loop (DOOSAN Gallery New York, New York, 2016); Chain Letter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5); Ten Single Shots (Gallery Zandari, Seoul, 2013); Honest Person (project space SARUBIA, Seoul, 2012); Harmony-Lip Sync Project 2 (Kunstlerhaus Bethanien, Berlin, 2009); and Turn Turn Turn (Kumho Museum of Art, Seoul, 2007). An has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9);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9); Delfina Foundation (London, 2019);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Art Space Pool (Seoul, 2017) and many more. An was shortlisted for the SongEun ArtAward Grand Prize in 2018 and awarded the DOOSAN Artist Award in 2014.
Jun Sojung (b.1982) studied Sculp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Media Art at Yonsei 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AU MAGASIN DE NOUVEAUTES (Atelier Hermès, Seoul, 2020); Kiss me Quick (SongEun Art Space, Seoul, 2017); Ruins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5); and As you like it (Insa Art Center, Seoul, 2010). Jun has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8); Villa Vassilieff (Paris, 2017); Gwangju Biennale (Gwangju, 2016);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5); Osaka National Museum of Art (Osaka, 2013);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2) and many more. Jun was also awarded the 18th Hermès Foundation Missulsang (Art Award), the 2016 Villa Vassilieff - Pernod Ricard Fellowship, and 2016 Gwangju Biennale Noon Award.

양혜규 Yang Haegue

양혜규(b.1971)는 서울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미술가로, 현재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미술학교 슈테델슐레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제53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및 아르세날레 단체전, 제13회 카셀도큐멘타, 제12회 샤르자비엔날레, 제16회 이스탄불비엔날레 등에 참여했다. 최근 뉴욕현대미술관, 마이애미 배스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 O2 & H2O»가 열리고 있다. 구겐하임미술관, 퐁피두 센터, 테이트모던 등 세계 유수 미술관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Yang Haegue (b.1971) is a visual artist based in Seoul and Berlin, who exhibits internationally and teaches at Städelschule in Frankfurt am Main. Yang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major exhibitions including the 53rd Venice Biennale, where she represented the Korean Pavilion and exhibited at the Arsenale. Her work has also been shown at dOCUMENTA (13) in Kassel, Sharjah Biennial 12, and the 16th Istanbul Biennial. She held her recent solo exhibitions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and The Bass Museum of Art in Miami Beach; furthermore, her works are collected by museums including the Guggenheim Museum, Centre Pompidou, and the Tate Modern. Yang’s solo exhibition MMCA Hyundai Motor Series 2020: Haegue Yang – O2 & H2O is currently on view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Seoul.

오종 Jong Oh

오종(b.1981)은 홍익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스쿨오브비주얼아트 순수미술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 뉴욕을 오가며 작업한다. 개인전 《Sunstone⟫(사브리나 암라니 갤러리, 마드리드, 2019), 《주고받는 모서리⟫(서울시립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서울, 2019), 《Windward⟫(요헨 헴펠 갤러리, 베를린, 2018), 《AIR⟫(클린징어 프로젝트, 비엔나, 2015) 등을 열었고, 뮤지엄 산(원주, 2019), 스파이럴(도쿄, 2019), 아트선재센터(서울, 2018), 디코도바미술관(보스턴, 2018) 등에서 열린 그룹전에 참여했다.

Jong Oh (b.1981) received his B.F.A. in Sculpture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and M.F.A. in Fine Arts from the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 He is based in Seoul and New York. His solo exhibitions include Sunstone (Sabrina Amrani Gallery, Madrid, 2019); Windward (Jochen Hempel Gallery, Berlin, 2018); and AIR (Krinzinger Projekte, Vienna, 2015). Oh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Museum SAN (Wonju, 2019); Spiral (Tokyo, 2019); Art Sonje Center (Seoul, 2018); DeCordova Museum (Boston, 2018) and more.

우한나 Woo Hannah

우한나(b.1988)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조형예술 예술사 및 예술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개인전 ⟪Ma Moitié⟫(송은아트큐브, 서울, 2020), ⟪Moulage Mélancolique⟫(피에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2019), ⟪Swinging⟫(삼육빌딩 1층, 서울, 2018), ⟪City Units⟫(촉촉투명각, 서울, 2016)을 열었고, 인사미술공간(서울, 2020), 블루메미술관(파주, 2020), 일민미술관(서울, 2019), 아마도예술공간(서울, 2019), 아트스페이스 풀(서울, 2019),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서울, 2019)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Woo Hanna (b.1988) received her B.F.A. and M.F.A. in Fine Art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Ma Moitié (SongEun ArtCube, Seoul, 2020); Moulage Mélancolique (project space SARUBIA, Seoul, 2019); Swinging (First floor, Samyuk BD, Seoul, 2019); and City Units (Choc2gak, Seoul, 2016). Woo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Insa Art Space (Seoul, 2020); Blume Museum of Contemporary Art (Paju, 2020);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9); Amado Art (Seoul, 2019); Art Space Pool (Seoul, 2019);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2019) and many more.

이불 Lee Bul

이불(b.1964)은 홍익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했다. 그는 1980년 작품 활동 초기부터 퍼포먼스, 설치, 조각 작업을 통해 아름다움, 파괴 등을 주제로 한 인습 타파적인 작업을 펼쳤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기계와 유기체의 하이브리드인 사이보그(Cyborg) 시리즈 작업으로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개인의 기억과 경험을 인류의 역사적 사건들과 결합시키고, 성찰과 비판의 시각을 지속적으로 제시한다. 뉴욕현대미술관, 뉴뮤지엄, 구겐하임 미술관, 무담 룩셈부르크,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 등 세계 최정상급 미술 기관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12년 아시아 여성작가 최초로 도쿄 모리 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개최했으며,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에 한국작가로는 유일하게 두 차례(1999, 2019) 초청된 바 있다. 1998년 휴고보스상 최종후보, 1999년 베니스비엔날레 특별상, 2014 년 광주비엔날레 눈예술상, 2019년 호암상 예술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Lee Bul (b.1964) received her B.F.A. in Sculpture from Hongik University. Since the early stages of her practice in the 1980s, Lee has presented ground-breaking artworks across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sculpture on topics such as beauty and destruction. In the late 1990s, Lee caused a stir in the international art scene with her Cyborg series, sculptures of beings that are both organic and machine. From the mid 2000s onward, Lee continued to showcase her reflexive and critical perspective through combining personal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historical events of mankind. Lee has had solo exhibitions at world renown institutions such as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New Museum, New York;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Grand Duke Jean Museum of Modern Art, Luxembourg; and Hayward Gallery, London. In 2012, she was the first female Asian artist to hold a large-scale retrospective at Mori Art Museum, Tokyo; and, she is the only Korean artist by date who has shown in the Central Pavilion of the Venice Biennale twice (1999, 2019). Lee was shortlisted for the Hugo Boss Prize in 1998 and awarded an honorable mention at the Venice Biennale in 1999, the Noon Award at the Gwangju Biennale in 2014, and the Ho-Am Prize in 2019.

이우성 Lee Woosung

이우성(b.1983)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개인전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학고재갤러리, 서울, 2017), ⟪키사스 키사스 키사스⟫(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7),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며⟫(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15), ⟪돌아가다 들어가다 내려오다 잡아먹다⟫(OCI미술관, 서울, 2013), ⟪우리가 쌓아 올린 탑⟫(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2), ⟪불 불 불⟫(갤러리175, 서울, 2012)을 열었다. 이밖에 아르코미술관(서울, 2020), 캔파운데이션 오래된집(서울, 2020), 국립현대미술관(청주, 2019), 경기도미술관(안산, 2019), 가오슝미술관(가오슝, 2019), 일민미술관(서울, 2019),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두산갤러리(서울, 2018) 등에서 다수의 기획전 및 협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Lee Woosung (b.1983) received his B.F.A. i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and M.F.A. in Fine Art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Lee’s solo exhibitions include My Dear (Hakgojae Gallery, Seoul, 2017); Quizás, Quizás, Quizás (Amado Art, Seoul, 2017); Pulling from the Front, Pushing from Behind (Art Space Pool, Seoul, 2015); Returning Entering Descending Devouring (OCI Museum, Seoul, 2013); The Tower We Built Up (Seoul Art Space Seogyo, Seoul, 2012); and Bul Bul Bul (175 Gallery, Seoul, 2012). Lee also participated in many group exhibitions and collaborative projects at ARKO Art Center (Seoul, 2020); Old House - CAN Foundation (Seoul, 202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heongju, 2019);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19); Kaohsiung Museum of Fine Arts (Kaohsiung, 2019);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9);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8) and many more.

임영주 IM Youngzoo

임영주(b.1982)는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고 동대학원 회화과를 수료했다. 개인전 ⟪AEDONG 애동⟫(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9) 을 비롯해 ⟪물렁뼈와 미끈액⟫(두산갤러리 서울, 서울, 2018 ), ⟪오메가가 시작되고 있네⟫(산수문화, 서울, 2017) 등을 열었고, 아트스페이스 풀(서울, 2020), 일민미술관(서울, 2019), 부산비엔날레(부산, 2018) 등 다수의 그전에 참여했다.

IM Youngzoo (b.1982) received her B.F.A. and M.F.A. i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AEDONG (DOOSAN Gallery New York, New York, 2019); Gristle and Synovial Fluid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8); and LOOK, HERE BEGINS THE OMEGA (SANSUMUNHWA, Seoul, 2017). IM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Art Space Pool (Seoul, 2020);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9); Busan Biennale (Busan, 2018) and more.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정은영(b.1974)은 이화여자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서양화를, 영국 리즈대학교 대학원에서 시각예술과 페미니즘이론을 공부했다. 개인전 ⟪어리석다 할것인가 사내답다 할것인가⟫(d/p, 서울, 2018), ⟪틀린색인: 여성국극 아카이브⟫(NTU CCA, 싱가포르, 2018), ⟪변칙 판타지⟫(남산아트센터 드라마센터, 서울, 2016), ⟪틀린색인⟫(신도문화공간, 서울, 2016) 등을 열었다. 2013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2015년 신도리코미술상,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에 참여했다.

siren eun young jung (b.1974) received her B.F.A and M.F.A. in Painting from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and her M.A. in Feminist Theory and Practice in Visual Art from University of Leeds, United Kingdom. jung’s solo exhibitions include foolish or mannish (d/p, Seoul, 2018); Wrong Indexing (NTU Centre for Contemporary Art Singapore, Singapore, 2018); Anomalous Fantasy(Staging) (Seoul Art Space Namsan Drama Center, Seoul, 2016); and Wrong Indexing (Sindoh Art Space, Seoul, 2016). jung was awarded the 2018 Korea Artist Prize, 2015 Sindoh Art Prize, and 2013 Hermès Foundation Missulsang (Art Award); and, her work was featured in the Korean Pavilion of the 2019 Venice Biennale.

정지현 Jung Jihyun

정지현(b.1986)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와 동대학원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최근 개인전 ⟪다목적 헨리⟫(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9)과 ⟪곰염섬⟫(두산갤러리, 서울, 2016)을 열었다.더 쇼룸(런던, 2017), 아트선재센터(서울, 2017), 광주비엔날레(광주, 2016) 등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퀸즈뮤지엄(뉴욕, 2015)에서 열린 《Unknown Packages》의 전시 및 연계 퍼포먼스 공연에 참여했다.

Jung Jihyun (b.1986) received his B.F.A. and M.F.A. in Fine Art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Jung’s recent solo exhibitions include Multipurpose Henry (Atelier Hermès, Seoul, 2019) and Gomyeomsom (DOOSAN Gallery Seoul, Seoul, 2016). Jung has participated in projects at venues such as The Showroom (London, 2017); Art Sonje Center (Seoul, 2017); and Gwangju Biennale (Gwangju, 2016). Jung was also part of the exhibition and performance series of Unknown Packages (2015) held at the Queens Museum in New York.

정희승 Chung Heeseung

정희승(b.1974)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를, 영국 런던 컬리지오브커뮤니케이션에서 사진과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Rose is a rose is a rose⟫(페리지갤러리, 서울, 2016), ⟪Still Life⟫(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2), ⟪부적절한 은유들⟫(아트선재센터, 서울 2013)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고은사진미술관(부산, 2017), 누크갤러리(서울 2017),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6), 리움 삼성미술관(서울, 2014) 등에서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Chung Heeseung (b.1974) received her B.F.A. i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Korea and M.A. in Photography from London College of Communication, United Kingdom. Chung’s solo exhibitions include Rose is a rose is a rose (Perigee Gallery, Seoul, 2016); Inadequate Metaphors (Art Sonje Center, Seoul, 2013); and Still Life (DOOSAN Gallery New York, New York, 2012). Chung’s work has also been featured in the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Goeun Museum of Photography (Busan, 2017); nook gallery (Seoul, 2017);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6);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4) and many other venues.

차재민 Cha Jeamin

차재민(b.1986)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를 졸업하고 첼시예술학교에서 순수예술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에서 거주 및 활동 중이며 영상, 퍼포먼스, 설치를 포괄하는 작업을 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광주, 2016, 2020), 필름앳링컨센터(뉴욕, 2019), 카디스트(샌프란시스코, 2019, 2020), 이흘라바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이흘라바, 2019),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바르셀로나, 2018), 국립현대미술관(청주, 2018), 베를린국제영화제(베를린, 2015, 2017), 광주비엔날레(광주, 2016), 미디어시티서울(서울, 2016), 전주국제영화제(전주, 2015), 두산갤러리(서울, 뉴욕, 2015),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고양, 2014), 국제갤러리(서울, 2013) 등에서 다수의 그룹전과 페스티벌에 참여했다.

Cha Jeamin (b.1986) received her B.F.A. in Fine Art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M.F.A. in Fine Arts from Chelsea College of Design and Arts, United Kingdom. Cha is based in Seoul and works across video,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Cha’s work has been shown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festivals such as Asia Culture Center (Gwangju, 2016, 2020); KADIST (San Francisco, 2019, 2020); Film Society at Lincoln Center (New York, 2019); Ji.Hlav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Jihlava, 2019); Barcelo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Barcelona, 2018);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heongju, 2018);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rlin, 2015, 2017); Gwangju Biennial (Gwangju, 2016); Seoul Mediacity Biennale (Seoul, 2016);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eonju, 2015); DOOSAN Gallery (Seoul, New York, 2015);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oyang, 2014); Kukje Gallery (Seoul, 2013).

최고은 Choi Goen

최고은 (b.1985)은 서울대학교 조소과 및 동대학원 조소과를 졸업했다. 개인전 ⟪Disillusionment of 11am⟫ (토마스파크갤러리, 뉴욕, 2019), ⟪오렌지 포디움⟫(시청각, 서울, 2018), ⟪토르소⟫(김종영미술관, 서울, 2016)를 열었으며 WESS(서울, 2020), 아르코미술관(서울, 2019),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서울, 2019), 아트선재센터(서울, 2018)등 다수 기관의 전시에도 참여했다.

Choi Goen (b.1985) received her B.F.A. and M.F.A. in Sculptu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s solo exhibitions include Disillusionment of 11am (Thomas Park Gallery, New York, 2019); Orange Podium (Audio Visual Pavilion, Seoul, 2018); and TORSO (Kim Chong Yung Museum, Seoul, 2016). Choi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WESS (Seoul, 2020); ARKO Art Center (Seoul, 2019); Nam-Seoul Museum of Art (Seoul, 2019); Art Sonje Center (Seoul, 2018) and many more.

아시아 작가

로이스응 Royce Ng

공동 기획 및 재제작 커미션: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로이스응(Royce Ng, b.1983, 홍콩)은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비디오 및 퍼포먼스 아티스트다. 아시아의 근현대사, 다국적 무역, 정치, 경제, 예술 간의 교차점에 관한 작품을 선보여왔다. 취리히 야콥스미술관, 뉴욕 퍼포마비엔날레 호주관, 광주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 등에서 전시했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과 함부르크 캄프나겔극장에서 ⟪뱀파이어 기시⟫를 공연했다. 취리히의 야콥스 뮤지엄에서 ⟪A Season in Shell⟫를, 멜버른의 게르투르드 컨템포러리 미술관에서 ⟪The Somali Peace Band Project⟫를 각각 선보였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젝트에 선정된 ⟪조미아의 여왕⟫이 독일, 스위스, 홍콩에 소개되었다.

Royce Ng (b.1983, Hong Kong) is a digital media and performance artist based in Hong Kong. Ng has presented works about Asi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multinational trade systems, and the intersections among politics, economics, and art. Ng has performed Kishi the Vampire at venues such as Johann Jacobs Museum, Zurich; Performa Biennial Australian Pavilion, New York; Gwangju Biennale, Gwangju; Busan Biennale, Busan; Asian Culture Center, Gwangju; and Theater Kampnagel, Hamburg. Ng has also performed A Season in Shell at the Johann Jacobs Museum, Zurich and The Somali Peace Band Project at the Gertrude Contemporary, Melbourne. Ng's piece Queen Zomia was se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performing arts project, Asia Focus 2017, and introduced internationally in Germany, Switzerland, and Hong Kong.

호루이안 Ho Rui An

공동 기획 및 재제작 커미션: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호루이안(Ho Rui An, b.1990)은 동시대미술, 영화, 퍼포먼스, 예술이론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싱가포르 작가다. 주로 렉처, 에세이, 필름 등의 매체를 통해 이미지와 권력 사이 변화와 관계의 양상을 살핀다. 특히 글로벌리즘과 거버넌스의 맥락 하에 이미지가 생산되고, 유통되고, 사라지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광주비엔날레(광주, 2018), 자카르타비엔날레(자카르타, 2017), 샤르자비엔날레(샤르자, 2017), 코치-무지리스비엔날레(코치, 2014), 베를린 세계문화의집(베를린, 2017)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Ho Rui An (b. 1990) is a Singaporean artist who works in the intersection of contemporary art, cinema, performance, and art theory. Ho mainly incorporates mediums of lecture, essay, and film in investigating the dynamic between image and power and its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Ho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images are produced, circulated, and abolished in the context of globalism and governance. Ho has presented his work at the Gwangju Biennale (Gwangju, 2018); Jakarta Biennale (Jakarta, 2017); Sharjah Biennial (Sharjah, 2017); Haus de Kulturen der Welt (Berlin, 2017); and Kochi-Muziris Biennale (Kochi, 2014) among many other venues.

호추니엔 Ho Tzu Nyen

공동 기획 및 재제작 커미션: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호추니엔(Ho Tzu Nyen, b.1976)은 싱가포르의 미디어 및 공연 작가이자 영화감독이다. 영상과 그림이 혼합된 작품 ⟪우타마-역사 속의 모든 이름은 바로 나⟫(2003)는 상파울로비엔날레, 후쿠오카 아시아트리엔날레에 전시되었으며, 장편 데뷔작 ⟪여기 어딘가에⟫(2009)가 칸영화제에, ⟪미지의 구름⟫(2011)이 선댄스영화제에 초청되었다. 그의 공연 작품 ⟪만 마리의 호랑이⟫는 201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개관축제에서 공연되었고,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불확정성의 원리》에서 ⟪동남아시아 비평사전 제2권: G-Ghost(유령작가)⟫가 소개되었다. 2018년 다원예술 프로젝트 《아시아포커스》를 통해 ⟪의문의 라이텍⟫을 발표했다.

Ho Tzu Nyen (b. 1976) is a Singaporean media and performance artist and film director. In 2018, Ho was selected to present The Mysterious Lai Teck as part of Asia Focus 2018,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MMCA) performance arts project. Ho's piece The cloud of Unknowing (2011) premiered at the Sundance Film Festival; his feature directorial debut piece HERE (2009) premiere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and his Utama-Every Name in History is I (2003), a combination of video and drawing, was shown at the São Paulo Biennial and Fukuoka Asian Art Triennale. Furthermore, his video piece The Critical Dictionary of Southeast Asia, Vol.1: G for Ghost(writers) was displayed as part of the exhibition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at the MMCA, Seoul; and, his performance piece Ten Thousand Tigers was introduced at the inaugural festival of the Asian Culture Center, Gwangju in 2015.

근현대 작가

김창열 Kim Tschangyeul

김창열(b.1929)의 물방울은 그림의 주체인 동시에 배경에서 배어 나오는 대상으로 존재한다. 초기 앵포르멜 계열 작품의 특징인 추상적 마티에르에서 출발하여 물방울이라는 구상적 이미지로 도달한 그의 작품은 재현과 환영이라는 회화의 오래된 문제의식으로 독해 될 수 있으나, 동시에 재료의 물성, 나아가 회화의 물성에 대한 탐구 가능성을 품는다.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슈발리에(1996),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2017), 은관문화훈장(2012) 등을 수상한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퐁피두센터, 보스턴현대미술관, 동경국립근대미술관 외 국내외 다수의 기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Kim Tschangyeul’s (b. 1929) water drops exist both as the subject of his paintings and the objects seeping through the canvas. Having evolved from abstract matière, the style of early Informel art, to the figurative depiction of water drops, Kim’s painting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classic duality of painting: representation and illusion. At the same time, Kim’s work potentially manifests his investigation into the materiality of the medium, and, furthermore, the nature of painting. In 1996, the French government bestowed Kim the honor of the Knight of the Order of Arts and Letters then in 1997 the Officer. In 2012, Kim was recogn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by receiving the Eungwan (2nd grade) Order of Cultural Merit. Kim’s work is a part of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Centre Pompidue (Paris),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Bost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Tokyo) and other institutions.

김혜련 Kim Heryun

김혜련(b.1964)은 베를린 종합예술대학교에서 조형학과 회화전공으로 학사와 석사를 졸업했으며 베를린 공과대학교 예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혜련 회화와 드로잉⟫(노이뮌스터 시립미술관, 노이뮌스터, 1998), ⟪예술을 위한 신발⟫(베를린 시립미술관 뮤지움 에프라임팔레, 베를린, 2005), ⟪달의 정원⟫(쿤스트할레 드레스덴, 2008), ⟪침묵의 소리⟫(쿤스트할레 드레스덴, 2018), ⟪예술과 암호-빗살무늬토기, 황남대총⟫(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8)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에스파세 루이비통 전시장(파리, 2008), 판문점 자유의 집(파주, 2014), 디오르 그룹프로젝트(DDP, 2015),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7, 2019) 외 다수 기관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Kim Heryun (b.1964) received her B.F.A. and M.F.A. in Painting from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and her Ph.D. in Philosophy at the Berlin Institute of Technology.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Arts and Code–The Code of Korean Prehistoric Art: Comb-pattern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2018); Sound of Silence–German Forest (Kunsthalle Dresden, Dresden, 2018); Moon Garden (Kunsthalle Dresden, Dresden, 2008); Shoes for Painting (Ephraim-Palasi, Stadtmuseum Berlin, Berlin, 2005); and Kim Heryun Paintings and Drawings (Textilmuseum Kulturamt, Neumünster, 1998). Kim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held at institutions ranging fro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7, 2019), Esprit Dior (Dongdaemun Design Plaza, 2015), Panmunjom House of Freedom (Paju, 2014), and Espace Louis Vuitton (Paris, 2008).

김홍주 Kim Hongjoo

김홍주(b. 1945)는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모임 ST에서 개념미술 등을 접하였으며, 1970년대부터 섬세한 수공의 방식으로 거울, 유리창 등에 투영된 인물을 그렸다. 이미지와 사물 사이를 오가는 그의 작업은 이후 서구와 전통, 고급과 대중, 담론과 실천을 넘나드는 과감하고 독자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김홍주는 최근 세밀한 선묘로 화면을 채워나가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국제갤러리(서울, 2015), 아르코 미술관(서울, 2009)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4 ID》(갤러리 내일, 서울, 2020), 《Korea Tomorrow 2015》(성곡미술관, 서울, 2015), 《자이트가이스트-시대정신》(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4)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2006년 ‘파라다이스 어워드’(Art in Culture, 2006)와 2005년‘제6회 이인성 미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Kim Hong Joo (b. 1945) was introduced to conceptual art through the artist group ST, which thoroughly advocated both theory and practice. He began his delicate paintings of figures reflected on mirrors and glass windows in the 1970s. Today, Kim’s paintings are evaluated to be the bold and idiosyncratic results of his free navigation among image and object, Western style and Korean tradition, high art and popular art, and theory and practice. Currently, Kim is committed to his latest style of using meticulous lines to fill shapes. Kim has had solo exhibitions at Kukje Gallery (Seoul, 2015) and Arts Council Korea (Seoul, 2009); and, he has participated in 4 ID (Gallery Naeil, Seoul, 2020), Korea Tomorrow 2015 (Sungkok Art Museum, Seoul, 2015), Zeitgeist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4) and many more. In 2006, Kim was awarded the Paradise Award by Art in Culture and in 2005 the 6th LEEINSUNG Art Prize.

김환기 Kim Whanki

한국 추상미술과 모더니즘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는 단순하고 함축적인 형태와 청아한 색, 두껍고 투박하게 발라 올린 마티에르로 고유의 조형 언어를 구축했다. 산, 강, 하늘부터 점, 선, 면에 이르는 소재들은 김환기 자신이 대상에 감응하는 방식으로 작품 속에서 독특하게 물화된다.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1970)의 대상을 수상했고, 한국 대표로 상파울루비엔날레(1963)에 참가하여 회화 부분 명예상을 수상했다. 또한 한국뿐 아니라 파리, 뉴욕 등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다.

Kim Whanki (1913-1974), a pioneer of Korean abstract art and Modernism, is known for his unique visual language established around simple forms, subtle colors, and thickly applied matière. His subjects, ranging from mountains, rivers, and the sky to points, lines, and planes, are uniquely reified in his paintings based on his affective reaction to each of them. Kim was awarded the Grand Prize from the 1st Korea Art Exhibition (1970) and the Honorary Award in Painting from the 7th Sao Paulo Biennale (1963) in which he exhibited as a representative of Korea. Kim exhibited and acquired fam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Paris, New York, and many other areas of the world.

김흥수 Kim HeungSou

김흥수(1919-2014)는 김환기와 함께 일본에서 공부하였고 1955년 프랑스로 건너가 서구 미술을 접했다. 1950년대 파리에서의 활동 이후 회화의 마티에르를 다양하고 실험적으로 구사했으며, 1968년부터 1980년까지 미국 펜실베니아 미술학교(Pennsylvania Academy of the Fine Arts) 의 교환교수로 체류하는 등 당대 가장 국제적인 활동을 펼친 작가로 평가 받는다. 1999년에는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으며 도쿄, 파리, 미국 펜실베니아 등 해외 곳곳에서 다수의 개인전 및 그룹전을 가졌다.

Kim Heungsou (1919-2014) initially studied in Japan with Kim Whanki then moved to France in 1955 to study Western Painting. After his training in Paris in the 1950s, Kim experimented with various methods of painterly matière; and, from 1968 to 1980, he served as an exchange professor at Pennsylvania Academy of Fine Arts, establishing his reputation as the most internationally active artist of the time. In 1999, Kim was awarded the Geumgwan (1st grade) Order of Cultural Merit by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He also held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 Tokyo, Paris, Pennsylvania, and many other parts of the world.

남관 Nam Kwan

남관(1911-1990)은 한국 미술이 근대에서 현대로 바뀌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추상 회화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동양적인 모티프를 서양화법과 융화시킨 회화적 표현이 그의 작품을 대표하는 특징이다. 그의 초기 작업은 두터운 유채 물감을 캔버스에 칠하거나, 콜라주를 이용해 다양한 효과를 이용하는 경향을 띄었다. 프랑스 파리를 방문한 이후 고대 유물에 영향을 받은 작품을 선보였으며, 유물을 연상시키는 녹슬거나 부식된 표면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1958년에는 한국인 최초로 파리의 화단을 이끈 전위미술 전시회 ⟪살롱 드 메-Salon de Mai⟫에 초대받았으며, 1966년에는 프랑스의 망통 회화 비엔날레 대상을 수상하였다.

Nam Kwan (1911-1990) was one of the leading abstract painters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transition from modern to contemporary Korean art. Nam’s artwork is characterized by the harmonization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nd Asian motifs. His earlier works frequently incorporated various effects through thick oil paint or collage. Since his visit to Paris, however, his interest shifted to ancient relics, and he started to use a type of meticulous textural depiction that was reminiscent of corroded surfaces. In 1958, Nam was the first Korean artist to participate in a Salon de Mai exhibition, a leading organization of the Paris Avant-Garde; and, in 1966, he received first prize at the Biennial Exhibition of Paintings in Menton, France.

박서보 Park Seobo

박서보(b. 1931)는 1957년 현대미술가협회전에서 앵포르멜 작업을 선보이며 전후 한국화단 세대교체의 주역으로 활동했고, 1970년대에는 이우환과의 교류를 통해 다시 한 번 단색화 열풍을 일으켰다. 수행이라 일컫는 박서보의 반복적인 행위는 미니멀리즘의 연속성이 갖는 기계적 메커니즘과는 달리 신체와 대상이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대상과의 조응을 보여준다.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9)에서 대규모 회고전 ⟪박서보-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이 열렸으며 화이트큐브(런던, 2016), 페로텡갤러리 뉴욕(뉴욕, 2017), 그랑팔레 미술관(파리, 2019) 등 전 세계 굴지의 기관에서 다수의 전시에 참여했다.

Park Seo-Bo (b. 1931) is an important figure in Korean contemporary art whose prominence began with his Informel paintings at the 1957 Hyun-Dae Artist Association Exhibition. In the 1970s, Park, along with Lee Ufan, founded the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movement. The repetition in Park’s work, referred to as a type of self-cultivating act, unlike the machinic repetition of Minimalism, epitomiz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body and object. Park’s recent large-scale retrospective Park Seo-Bo: The Untiring Endeavorer was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9), and Park’s work has been shown at numerous notable venues such as the Grand Palais (Paris, 2019), Perrotin (New York, 2017) and White Cube (London, 2016).

박수근과 친구들(주호회와 그 주변: 박창돈, 최영림, 홍종명, 황유엽) Park SooKeun and his Freinds (around Joo-ho group: Park Dorn, Choi Young-Rim, Hong ChongMyung and Hwang You-Yop)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박수근(1914-1965)은 1940년 결혼과 동시에 평양에서 약 5년간 체류했다. 이 시기 고구려 벽화에 심취했던 일본인 학예사 오노 타다아키(小野忠明, 1903-1994)와 주변의 화가들 모임인 주호회(珠壺會)에 가입하여 최영림(1916-1985), 황유엽(1916-2010) 등과 함께 활동했다. 해방 이후 박수근은 월남하여 창작미술협회(創作美術協會)에서 활동 중인 이들과 후배 작가 홍종명(1922-2004), 박창돈(b.1928), 박항섭(1923-1979) 등과 어울린다. 이때 공교롭게도 박수근의 화강암 재질의 마티에르가, 50년대 후반 후배 작가들의 작업에서 황토의 질감이나 벽화의 느낌으로 다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미술 평론가 이구열은 이들 작업의 공통성에 대해 연구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으며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에서는 박수근과 이들의 50년대 말, 60년대 초반 작품들이 처음으로 함께 전시된다.

Park SooKeun (1914-1965), a symbolic figure in Modern Korean art, resided in Pyongyang (now capital of North Korea) for almost 5 years after his marriage. During this period, Park joined artists such as Choi YoungRim (1916-1985) and Hwang YouYup (1916-2010) in the Joo-ho group (珠壺會), a group of artists who studied Goguryeo tomb murals, organized around the Japanese scholar Ono Tadaaki (小野忠明, 1903-1994).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Park defected back to South Korea and worked alongside younger artists such as Hong Jong-myung (1922-2004), Park Chang-Don (b. 1928), Park HangSup (1923-1979) and artists in the Chang Jark Fine Arts Association (創作美術協會). Interestingly, Park’s use of granite matière was often echoed by artists of the late 1950s in textured clay works and murals. Art critic Lee Kuyul once pointed out the need to study such overlap between these artists’ practices. At Art Plant Asia 2020, these artworks from the late 1950s to early 1960s will be exhibited side by side with Park’s painting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윤형근 Yoon Hyongkeun

김환기의 사위이자 그의 영향을 받은 윤형근(1928-2007)의 단색화는 행위의 반복을 통해 드러나는 안료와 캔버스의 물성을 보여준다. 인위적인 재단이 불가한 안료의 스며듦과 번짐은 통제할 수 없는 사물의 고유한 본질을 감각하게 하며 화면 안에 생겨난 빈 공간과 색 면의 자유로운 구성은 대상과의 자연스러운 조화와 관계에 대해 상상할 수 있게 한다.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9), 광주비엔날레(광주, 2000) 등 국내뿐 아니라 베니스비엔날레 (베니스, 1995)에서의 첫 번째 한국관 전시를 비롯하여 테이트 리버풀(리버풀), 도널드 저드 재단(뉴욕), 동경 센트럴 미술관(도쿄) 외 전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The monochrome paintings of Yun Hyong Keun (1928-2007), a son-in-law and protégé of Kim Whanki’s, embody repetitive marks that reveal the materiality of the pigment and canvas. Spontaneous spreading and smudging of the paint leads the viewers to contemplate the uncontrollable nature of things, while the empty spaces and color fields allow them to envisage their correlation with objects. Kim has not only exhibited at local venue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9), and Gwangju Biennale (Gwangju, 2000), but also at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first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Venice, 1995), Tate Liverpool (Liverpool), Donald Judd Foundation (New York), Tokyo Central Museum of Art (Tokyo).

이우환 Lee Ufan

이우환(b.1936)은 이론가 겸 작가로, 일본과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1968년 등장한 일본의 미술운동 모노하(物派)의 이론과 실천의 주역이었고, 1970년대에 들어 회화를 중심으로 작업방향을 전환하며 한국 단색화단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개인전 ⟪Marking Infinity⟫(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2011)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전시를 열었다.

Lee Ufan (b. 1936) is an artist and theorist based in Japan and France. Lee was a forerunner in develop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1968 Japanese art movement Mono-ha (物派). In the 1970s, Lee redirected his practice towards painting and played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the style of monochrome painting in Korea. Lee has had solo exhibitions at world renowned institutions including Marking Infinity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2011).

프로그램
Programs

토끼굴
구글 크롬에서 진행을 권장합니다.
토끼굴 튜토리얼
구글 크롬에서 진행을 권장합니다.

개막식

  • 일시: 2020년 10월 23일(금)
  • 별도의 세레모니 없이 소규모 도슨트 투어 진행

연계 프로그램

정/동/사/물: 국내 세미나

  • 일시: 2020년 10월 8일(목) 오후 6~9시
  • 장소: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
  • 발제자: 이승현, 김남시, 박성관, 이정우
  • 토끼 방향 오브젝트 / 이승현(AP아시아 2020 총감독)
  • 1900년대 이후 미술에서 객체와 사물 / 김남시(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교수)
  • 사/물의 그늘: 티모시 머튼의 다크 에콜로지 / 박성관(대안연구공동체 연구자)
  • 디지털 모나돌로지 / 이정우(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세미나 영상

사물학 연대기: 국제 화상 세미나

  • 일시: 2020년 10월 29일(목) 오후 7~10시
  • 장소: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
  • 발제: 이정우(한국), 유쿠이(Yuk Hui, 중국), 고쿠분 고이치로(Koichiro Kokubun, 일본), 마텐 스펭베르크(Mårten Spångberg, 스웨덴)

사변적 실재론에 근거한 퍼포먼스 작업에 매진하고 있는 스웨덴의 국제적 안무가 마텐 스펭베르크, 서구의 기술 중심 사유에 지역별 우주론을 접목시킬 것을 주장하며 베를린에서 활동해 온 홍콩 출신 철학자 유쿠이, 들뢰즈 연구자로 최근 중동태에 관한 사유를 진전시키는 일본의 고쿠분 고이치로, 이런 움직임을 한국적 사유로 확장하는 철학자 이정우를 초청한다.

세미나 영상

갤러리 데이

국제갤러리 서울 K3

  • 일시: 2020년 11월 7일(토) 오후 1시~2시 30분
  • 김홍주 작가 아티스트 토크 / 권태현(미술 비평), 유진영(미술 비평)
세미나 영상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

  • 일시: 2020년 11월 14일(토) 오후 1~6시
  • 근대미술 시장 활성화에 관한 대화 / 김윤섭(미술비평), 최웅철(한국화랑협회장), 황규성(전 리움미술관 수집보존부 실장) 등
  • 오종 작가 아티스트 토크 / 사브리나 암라니(Sabrina Amrani, 마드리드) 갤러리
  • 아시아 동시대미술에 관한 문답 / 현대갤러리(서울), ROH(자카르타), 풀필(Fulfill, 타이베이), 포스트(FOST, 싱가포르), 자하베리(Jhaveri, 뭄바이), 실버렌즈(Silverlens, 마닐라), 뱅크(BANK, 상해) 등
  • 한국 동시대미술의 국제 프로모션에 관한 대화 / 패트릭 리(현대갤러리 디렉터), 앤디 루이스, 리안갤러리 등
세미나 영상

PKM 갤러리

  • 일시: 2020년 11월 17일(화) 오전 11~12시
  • 특강 / 안소연(아뜰리에 에르메스 디렉터)

작품과 담론의 생산 못지 않게, 활발한 유통은 미술계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갤러리 데이’는 미술 시장을 더욱 건강하게 만들고 상생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기 위한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의 비전을 담은 갤러리 프레젠테이션 형식의 행사로 국내의 주요 갤러리와 유망 갤러리, 아시아권 작가들에 집중하는 해외 갤러리 8~10곳을 초대해 갤러리와 작가를 홍보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사전 예약 필수. 예약은 AP아시아 웹사이트 또는 SNS를 통해 가능합니다. 모든 부대 행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소규모 인원을 예약제로 초청 또는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과 스트리밍을 병행해 진행 예정.

Opening

  • Dates: 2020. 10. 23. (Fri) 11:00–12:30
  • Venue: Deoksugung Palace, Forecourt of Hamneongjeon
  • Note: Limited capacity tours will be held by RSVP

Related programs

Seminar 1: Affect and Object

  • Dates: 2020. 10. 8. (Thu) 18:00–21:00
  • Venue: ‘Jeongdong 1928 Art Center’ Event hall
  • Speakers: Lee Seunghyun, Kim Nam-See, Park Sung-Kwan, Lee Jeong-woo

Seminar 2: Chronicles of Objectology

  • Dates: 2020. 10. 29. (Thu) 19:00–22:00 (Partial Schedules may be subject to change)
  • Venue: ‘Jeongdong 1928 Art Center’ Event hall
  • Speakers: Lee Jeong-woo (Korea), Yuk Hui (China), Koichiro Kokubun (Japan), Mårten Spångberg (Sweden)

Invitations will be made to the international Swedish choreographer Mårten Spångberg who is vigorously working on performance work based on speculative realism, the philosopher Yuk Hui from Hong Kong who has been active in Berlin and who argues the grafting of regional cosmology to technology-driven reason of the West, Koichiro Kokubun from Japan who has developed grounds for recent mediopassive expressions as a Deleuze researcher, and philosopher Lee Jeong-woo who desires to develop Korean grounds for such movement.

Gallery Day

Kukje Gallery K3

  • Dates: 2020. 11. 7. (Sat), 13:00–14:30
  • Kim HongJoo Artist Talk with Kwon Taehyun(Art critic) and You Jinyoung(Art critic)

‘Jeongdong 1928 Art Center’ Event Hall

  • Dates: 2020. 11. 14. (Sat), 13:00–18:00
  • Dialogue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modern art market with Kim Yoonsub (Art critic), Choi Woongchul (Chairman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Hwang Kyusung (Former head of collection and preservation department, LEEUM Museum of Art) and more
  • Screening recorded artist talk with Jong Oh and Sabrina Amrani (Co-director of Sabrina Amrani Gallery, Spain)
  • Screening recorded answers from 10 asian galleries on Asian contemporary art with Hyundai Gallery (Korea), ROH (Indonesia), Fulfill (Taiwan), FOST (Singapore), Jhaveri (India), BANK (China), and more
  • Dialogue on the international promo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with Patrick Lee (Director of Gallery Hyundai), LEEAHN gallery and more, and moderated by Andy St. Louis

PKM Gallery

  • Dates: 2020. 11. 17. (Tue), 11:00–12:00
  • Lecture on Lee Bul by Ahn Soyeon (Director of Atelier Hermes)

Active distribution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the art world, just as much as the production of artwork and discourse. ‘Gallery day’ makes the art market healthier and it is an event that takes the form of gallery presentations that embrace the vision of ‘AP Asia 2020’ to become a platform for coexistence and major galleries and promising galleries of Korea along with eight to ten international galleries focused on Asian artists will be invited to provide promotions for galleries and artists.

RSVP required. Reservation will be available through the AP Asia website or SNS later. All related events are to be held according to social distancing guidelines, progressed through reservations for small numbers of people or through online video programs and streaming

크레디트
Credits

이사장 Chairman

  • 윤훈열 Yoon Hoon Yul

총감독 Director

  • 이승현 Lee Seunghyun

사무국장 Operation Manager

  • 강태호 Kang Taeho

전시팀 Curatorial Team

큐레이터 Curator

  • 윤율리 Yoon Juli
  • 장혜정 Jang Hyejung

전시 코디네이터 Curatorial Coordinator

  • 박선호 Park Sunho
  • 유진영 You Jinyoung

홍보/운영팀 PR/Site Operation Team

홍보/운영 매니저 PR/Site Operation Manager

  • 권순우 Kwon Soonwoo

홍보/운영 코디네이터 PR/Site Operation Coordinator

  • 김솔지 Kim Solji
  • 이규식 Lee Gyusik

해외 작가 커미셔너 International Artist Commissioner

  • 김성희 Kim Seonghee

자문위원 Advisory Committee

  • 김남시 Kim Nam-See
  • 김성우 Kim Sungwoo
  • 김성희 Kim Seonghee
  • 안영진 Ahn Youngjin
  • 이정우 Lee Jeong-woo
  • 임민욱 Im Minouk
  • 정재찬 Jeong Jaechan
  • 최웅철 Choi Woongchul
  • 최태만 Choi Taeman
  • 패트릭 리 Patrick Lee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 모조산업 Mojo Industry

디자인 Design

  • 워크룸 Workroom

공간 디자인 Exhibition Design

  • 맙소사 Marcsosa
  • 포스트스탠다즈 Post Standards

영상 Video Production

  • 슈가솔트페퍼 프로덕션 Sugarsaltpepper Production

사진 Photography

  • 타별 Tabial

3D 콘텐츠 3D Contents

  • 테크캡슐 Techcapsule

번역 Translation

  • 김지선 Kim Jisun
  • 정서희 Jeong Sophie

주최 Hosts

  • 아트 플랜트 아시아 Art Plant Asia
  • 중구청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ung-gu

주관 Management

  • 아트 플랜트 아시아 Art Plant Asia
  • 중구청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ung-gu
  • 정동1928 아트센터 Jeongdong1928 Art Center

협력 기관 Cooperation institution

  • 옵/신 페스티벌 OB/SCENE Festival

후원 Sponsors

  • 비씨카드 BC Card
  • 서울시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협찬 Supports

  •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 유진투자증권 EUGENE Investment & Securities
  • Vitabrid C¹²
  • 딜라이브 D'LIVE
  • 동국제약 Dongkook Phamaceu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