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he BookBook Festival is an event for the Asian independent publishing network. It will take place from September 11 to 14, 2025, at the Goethe-Institut Korea in Seoul. On the 11th and 12th, there will be a forum led by international participants, and on the 13th and 14th, a book fair featuring more than 35 publishers from Korea and abroad will be held. The festival catalog, The BookBook Handbook, is scheduled for release at the end of August. We look forward to your interest and support.

북북 페스티벌은 아시아 독립 출판 네트워크를 위한 행사입니다. 2025년 9월 11일부터 14일까지 주한독일문화원에서 진행됩니다. 11일과 12일은 해외 참가자가 주축이 되는 포럼, 13일과 14일은 35개 이상의 국내외 출판사들이 참여하는 북 페어가 진행됩니다. 행사에 관한 카탈로그인 『북북 핸드북』(The BookBook Handbook)도 8월 말에 발간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Participants

  • 51 Personae 51 Personae
    상하이 Shanghai
    중국 China
  • 6699프레스 6699press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abC & DREAMERFTY abC & DREAMERFTY
    베이징 Beijing
    중국 China
  • AFSAR AFSAR
    여러 지역 Multiple Localities
    온라인 Online
  • 사월의눈 April Snow
    대구 Daegu
    대한민국 South Korea
  • 아틀리에 호코 Atelier HOKO
    싱가포르 Singapore
    싱가포르 Singapore
  • 방콕 시티시티 갤러리 Bangkok CityCity Gallery
    방콕 Bangkok
    태국 Thailand
  • 버드핏 Bird Pit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버드콜 Birdcall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커먼 임프린트 Common Imprint
    베를린 Berlin
    독일 Germany
  • 포토북 더미스 데이 Fotobook Dummies Day
    타이페이 Taipei
    타이완 Taiwan
  • 퍼더 리딩 Further Reading
    자카르타 Jakarta
    인도네시아 Indonesia
  • 황은영 Hwang EunYoung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화원 Hwawon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김선익 스튜디오 Kimsunik Studio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라임스톤 북스 Limestone Books
    마스트리히트 Maastricht
    네덜란드 Netherlands
  • 미디어버스 Mediabus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민구홍 매뉴팩처링과 새로운 질서 친구들 Min Guhong Manufacturing and friends of New Order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멀티플 스피리츠 Multiple Spirits
    도쿄, 빈 Tokyo, Vienna
    일본, 오스트리아 Japan, Austria
  • 뉴트럴 컬러스 Neutral Colours
    요코하마 Yokohama
    일본 Japan
  • 닌겐 페이퍼 프레스 Ningen Paper Press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nos:books nos:books
    타이페이 Taipei
    타이완 Taiwan
  • 오큐파이 더 시티 Occupy the City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외밀 ŒUMIL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푹 아랄란 언리러닝 pook aralan unrelearning
    라구나 Laguna
    필리핀 Philippines
  • 프로파간다 Propaganda
    군산 Gunsan
    대한민국 South Korea
  • 나선 프레스 Rasun Press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릴레이티드 디파트먼트 Related Department
    뉴욕 New York
    미국 United States
  • 로빈에그파이 Robineggpie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신도시 Seendosi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스몰 튠 프레스 Small Tune Press
    홍콩 Hong Kong
    홍콩 Hong Kong
  • te 에디션스 te editions
    뉴욕 New York
    미국 United States
  • 템포러리 프레스 Temporary Press
    싱가포르 Singapore
    싱가포르 Singapore
  • 더플로어플랜 The Floorplan
    베를린 Berlin
    독일 Germany
  • 더 인비저블 아카이브 The Invisible Archive
    베를린 Berlin
    독일 Germany
  • 타이그레스 온 페이퍼 Tigress on Paper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도쿄 아트 북 페어 Tokyo Art Book Fair
    도쿄 Tokyo
    일본 Japan
  • 웨어링 리딩 Wearing.Reading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작업실유령 Workroom Specter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 수건과 화환 Wreath and Towel
    서울 Seoul
    대한민국 South Korea

Forums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forum program of the BookBook Festival. The forum will take place on Thursday, the 11th, and Friday, the 12th, featuring 11 participating publishers across 11 sessions. Discussions will address issues of distribution and production in relation to art book fairs, questions of regional identity including “Asianness,” as well as concerns around design and making. Rather than a one-way lecture format, the sessions will unfold in diverse forms such as discussions and performances. All programs are free and open to the public without prior registration, though please note that some sessions may run longer than scheduled.

북북 페스티벌 포럼을 안내드립니다. 포럼은 11일(목)과 12일(금) 양일간 진행되며, 총 11개의 출판사가 11개 세션을 통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아트북페어를 중심으로 한 유통과 제작의 문제, 아시아성을 비롯한 지역적 이슈, 디자인과 제작 과정에서의 쟁점들을 제기하고 함께 논의하고자 합니다. 일방적인 강연이 아니라 토론과 퍼포먼스 등 다양한 형식으로 진행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 없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다만 일정이 다소 길어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9월 11일 목요일 Thursday, September 11
11:00

우리는 왜 북북 페스티벌을 시작했는가?

Why did we start the BookBook Festival?

11:30

만약 아트북페어가… ● 퍼더 리딩

퍼더 리딩은 짧은 자기 소개와 자카르타 아트북페어 경험을 나눈 뒤 퍼포먼스로 발표를 마무리합니다. 또한 관객들이 적어준 “What if an art book fair…” 메모를 함께 읽고자 합니다.

What if an art book fair… ● Further Reading

Further Reading will give a short self-introduction and share their experience with the Jakarta Art Book Fair, concluding the presentation with a performance. He will also read aloud the “What if an art book fair…” notes written by the audience.


토키오에서 도쿄까지 ● 도쿄 아트북 페어

도쿄아트북페어 팀은 TOKIO와 TABF를 비교하며 각각의 차이를 짚고, 두 페어가 경쟁이 아닌 서로를 지지하고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관계임을 공유합니다.

From Tokio to Tokyo ● Tokyo Art Book Fair

The Tokyo Art Book Fair will give a presentation comparing TOKIO and TABF, highlighting their differences while emphasizing that the two fairs support and positively influence each other rather than compete.


지금 우리에게 아트북페어는 어떤 모습인가?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그것을 필요로 하는가? ● 포토북 더미스 데이

포토북 더미스 데이의 준예는 대만 아트북페어의 확장 과정과 재정 구조, 그리고 판매를 넘어선 북페어의 의미를 이야기합니다. 또한 BOOK BOOK에서는 아시아 아트북페어의 미래와 유통, 번역 등 책의 순환 방식을 함께 고민하고자 합니다.

What do art book fairs look like to us now—and do we even still need them? ● Fotobook Dummies Day

Junye from Fotobook Dummies Day will share insights on the expansion of art book fairs in Taiwan, their financial structures, and the meaning of fairs beyond sales. At BOOK BOOK, she will also open questions on the future of art book fairs in Asia, and on circulation through distribution, translation, and other forms of exchange.

15:30

NC에서 책 만들기 ● 뉴트럴 컬러스 매거진

뉴트럴 컬러스 매거진은 매년 하나의 주제를 정해 5,000부를 리소와 옵셋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제작해 왔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여섯 번째 이슈의 기획부터 편집, 제작까지의 과정을 15분간 압축해 공유합니다.

How to Book in NC ● Neutral Colors Magazine

Neutral Colors has produced 5,000 copies each year on a single theme,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risograph and offset printing. In this presentation, they will condense and share the process of planning, editing, and producing the sixth issue in 15 minutes.


유통에 대해 이야기하라고 합니다 ● nos:books

출판사이자 예술가로서 책을 만들면서 겪는 유통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할 예정입니다. 이들이 만든 책들도 일부 소개합니다.

I was told to distribute ● nos:books

They will talk about the distribution and pre-distribution challenges they have encountered as publishers and artists, and will bring some of their books to share during the conversation.


(퍼블리싱 폼) 디자이닝 컨텐츠 ● 템포러리 프레스

템포러리 프레스는 군산 북페어에서 ‘형식’을 다룬 전반부에 이어, 이번 발표에서는 ‘콘텐츠’를 어떻게 디자인할 수 있는지를 디자이너-퍼블리셔의 관점에서 공유합니다.

(Publishing Form) Designing Content ● Temporary Press

Temporary Press will follow up on the first part presented at the Gunsan Book Fair, which focused on “form,” by sharing in this talk their perspective as designer-publishers on how “content” can be designed.

9월 12일 금요일 Friday, September 12
11:00

지역에서 출판하기, 지역에서 판매하기 ● 라임스톤 북스

라임스톤 북스는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 위치한 서점이자 프로젝트 스페이스로, 이번 발표에서 지역 공동체와 함께한 여러 작업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곧 출간될 세 권의 신간, 「서적광의 환상에 관한 노트」, 「미메시스」, 「움직이는 토대 위에서의 제도 만들기」를 공유합니다.

Print Local, Sell Local ● Limestone Books

Limestone Books, based in Maastricht, the Netherlands, is a bookstore and project space. In this presentation, they will introduce several projects developed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share three forthcoming titles — note on bibliomaniac fantasy, Mimesis, and Institution Making on a Moving Ground.


인쇄된 혁명들: 덩굴처럼 뻗어가는 아카이브와 퀴어 페미니스트 자료들 ● 멀티플 스프리츠

멀티플 스프리츠는 진 제작과 전시 실천을 소개하며, 이를 가능하게 한 인쇄문화 연구를 함께 나눕니다. 특히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잡지 속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재현이 어떻게 형성되고, 도전받고, 다시 상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퀴어 페미니스트 네트워크가 저항의 매체를 어떻게 갱신해 왔는지 이야기합니다. 또한 도쿄와 비엔나에서의 활동 차이도 성찰할 예정입니다.

Printed Revolutions-The Vine-like Archive and Queer Feminist Readings ● Multiple Spirits

Multiple Spirits will introduce their practices of zine-making and exhibition-making, alongside research into print culture that has informed their work. They will explore how representations of gender and sexuality in magazines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ave been shaped, challenged, and reimagined, and how queer feminist networks have continually renewed media as sites of resistance. The presentation will also reflect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activities in Tokyo and Vienna.


가능한 장소들에 대한 제안 ● 방콕 시티시티 갤러리

북샵 라이브러리, 방콕아트북페어 등 방콕 시티시티 갤러리가 진행해온 프로젝트들은 완결된 플랫폼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를 성찰하고 실험하며 기록하는 무대로 기능해왔습니다. 이번 발표는 이러한 과정과 시도를 바탕으로 동시대 예술과 출판의 가능성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Proposal for Possible Places ● Bangkok CityCity Gallery

Projects initiated by Bangkok CityCity Gallery, such as BOOKSHOP LIBRARY and BANGKOK ART BOOK FAIR, have functioned not as fixed platforms but as stages for reflection, experimentation, and archiving in relation to the city we live in. This presentation builds on these processes to share perspectives on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and publishing.

15:30

책을 통해 친구 만들기: abC와 우리의 10년동안 출판사 친구들 ● abC & DREAMERFTY

abC는 지난 10년간 함께해온 출판사들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Friend Festival’을 주제로 전시를 선보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팀과 전시의 기획 배경을 소개하고, 가져온 책들을 간단히 소개한 뒤 제작자들과 함께 쌓아온 경험과 이야기를 중심으로 나눕니다.

Making Friends Through Books—abC and its Publisher Friends through 10 years ● abC & DREAMERFTY

abC presents an exhibition themed “Friend Festival,” built on a decade of collaboration with fellow publishers. In this presentation, the team will introduce the background of the project, briefly showcase the books they bring, and focus on sharing the experiences and stories developed together with the book makers.


기념비 되기 ● 푹 아랄란 언리러닝

기억·장소·정체성과 출판을 엮어온 워크숍의 연장선에서, 이번에는 라구나 지역 공동체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며 ‘함께 기념비가 되기’라는 의미를 확장합니다.

Becoming a Monument ● pook aralan unrelearning

Building on past workshops that connected memory, place, identity, and publishing, this presentation expands the idea by sharing stories from the Laguna community and reflecting on what it means to become a monument together.

Programs

BOOK?

Exhibition
by Atelier HOKO

“What does it mean to read a book?” As physical books continue to fade away from our everyday, what are we losing? Are we slowly losing a certain sensibility towards things, textures and space? Do we become less sensitive to light hues and tonalities? Are we unable to keep our hands in certain fixed position for long periods of time, of which it is not tedium that defines the duration but the gentle interaction with the book’s physical materiality… In today’s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find ourselves once again questioning our own humanity. Amidst this uncertainty, this exhibition has chosen the book as both subject and context to explore and interrogate the intrinsic human behaviours associated with reading. It raises the discussion of how the humble book will continue to resist the digitisation of our reading experience, not out of nostalgia or resistance to change, but as a necessity to understand what reading truly means.

“책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물리적인 책이 우리의 일상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지금, 우리는 무엇을 잃고 있는가? 사물이나 질감, 공간에 대한 어떤 감각을 서서히 잃어가고 있는 것일까? 빛의 미묘한 색조나 명암에 점점 둔감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오랫동안 손을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기 힘들게 되었다. 그 지속 시간을 결정짓는 것은 지루함 때문이 아니라, 책의 물리적 물성과 이루는 부드러운 상호작용이 아닐까? 인공지능 시대에 우리는 다시금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자문하게 된다. 이 전시는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책을 주제이자 맥락으로 삼아, 읽기와 관련된 인간 고유의 행위들을 탐색하고 성찰한다. 이는 책이라는 겸손한 사물이 어떻게 우리의 독서 경험의 디지털화를 견뎌낼 수 있는지를 질문한다. 그것은 변화에 대한 저항이나 단순한 향수가 아니라, ‘읽는다는 것’의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다.


abC 10 Years with Friends at (  ) Book (  ) Book

Exhibition
by abC & DREAMERFTY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latforms and event brands for independent culture and art in China, abC & DREAMERFTY has, since 2015, built a vibrant bridge between young creators, the public, and the market. Over the past ten years, abC has cultivated a lively and enduring local creative ecosystem. Closely connected with its community, abC has grown alongside the evolving landscape of the field. The story of abC over the past decade is woven together by friendship and community. Here, specific, emotional, and diverse expressions come together—like grains of sand forming a tower—mutually inclusive and creating a freer space for expression. abC embodies a way of life where art, youth, and ideals converge. This celebration is well deserved—a joyful festival of friendship. abC decided to take Friend Festival overseas—bringing what it archives and publications that archive their own—to reconnect with collaborators, meet new friends, and introduce publications from China to a wider audience.

중국의 독립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플랫폼이자 이벤트 브랜드 중 하나인 abC(art book in China)는 2015년 이래로 젊은 창작자, 대중, 시장을 잇는 다리를 놓아왔다. 지난 10년 동안 abC는 생동감 있고 지속 가능한 지역 창작 생태계를 가꾸어 왔으며, 커뮤니티와 긴밀히 연결된 채 이 분야의 변화하는 지형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abC의 지난 10년은 우정과 커뮤니티로 엮인 이야기다. 이곳에서는 구체적이고 감정적이며 다채로운 표현들이—모래알이 모여 탑을 이루듯—서로를 포용하며 더 자유로운 표현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abC는 예술과 청년, 이상이 만나는 하나의 삶의 방식을 체현한다. 이번 축제는 그만큼 의미가 있다. 우정을 축하하는 즐거운 축제다. abC는 ‘Friend Festival’을 해외로 확장하기로 결정했으며, 그동안 쌓아온 아카이브와 스스로를 기록하는 출판물들을 소개하며, 기존의 협업자들과 다시 연결되고,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면서 중국의 출판물들을 더 넓은 세계에 알리고자 한다.


Reading Room

by BookBook Festival

The Reading Room is composed of books donated by independent publishers from across Asia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BookBook Festival. This small library of over 50 titles serves as one of the most condensed and tangible expressions of the festival’s core intentions. The act of donation is more than simply offering a book. It is grounded in trust, friendship, and a willingness to share one's work. This gesture of exchange and mutual recognition has always been a central principle in how we imagine and operate spaces for books. These books are not mere display objects. Each one reflects a specific context, emerging from distinct local conditions and publishing practices. They serve as evidence of how independent publishing operates across different regions. From visual art and design to experimental practices, community-based documentation, and political engagement, each book speaks to the reader through its own materiality and form. The Reading Room stands as a statement in itself. The fifty books gathered here carry a wide range of narratives and backgrounds. Yet their presence in a shared space allows us to trace a set of common values and approaches. Together, they form a loose but meaningful map shaped by the relationships and dialogues that emerge among them. The festival’s central theme—reading and connecting with one another—is reflected most clearly in this Reading Room. After the festival, the collection will be relocated to Common Imprint’s Reading Room in Berlin, where it will remain as a small and lasting archive of contemporary independent publishing from Asia.

리딩 룸은 북북 페스티벌에 참여한 아시아 지역 출판사들이 기증한 책들로 구성된 공간이다. 50여 권의 책이 한자리에 놓인 이 서가는 이번 페스티벌을 가장 응축된 형태로 드러낸 결과물 가운데 하나다. 우정과 대화에 기반한 기증이라는 행위는 우리가 책 공간을 운영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다. 이 책들은 단순한 전시 자료라기보다 개별 출판사(이들을 출판사라고 부를 수 있다면)들의 맥락 속에서 중요한 하나의 결과물들이자, 서로 다른 지역과 조건에서 이들의 활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시각예술이나 디자인, 실험적인 출판 실천부터 공동체적 기록, 정치적 개입까지, 여기에 있는 모든 책들은 각자의 물성과 형식으로 독자에게 이야기를 건넨다. 리딩 룸은 그 자체로 하나의 발언이다. 여기 모인 50권의 책은 정말 다양한 맥락들을 보여주지만 이것이 이 장소에서 한 군데에 모였다는 것은 이 맥락들을 이어 붙이면서 우리가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 보여준다. 동시에 이들은 서로 대화하면서 하나의 지도를 형성하기도 한다. 북북 페스티벌이 지향하는 ‘서로를 읽고 연결하는 감각’은 이 리딩 룸에 집약되어 있다. 이곳에서 전시 이후 이 책들은 베를린의 리딩 룸인 커먼 임프린트로 이동해 아시아 독립출판을 기록하는 작고 단단한 아카이브로 남을 것이다.


(draft) ZINE
(printed) ZINE

by BookBook Festival

The BookBook Festival believes that a book fair should not remain merely a space for consumption—buying and selling books—but can instead become a site of production where new publishing ventures are born. Based on this belief, (draft) ZINE (printed) ZINE introduces unpublished zine proposals and compelling ideas, connecting them with independent publishers across Asia who may be interested in bringing them to life. Open to anyone—artists, designers, curators—who wants to create printed matter but has yet to find a publisher, the program invites submissions through an open call. Of course, you don’t necessarily need to be looking for a publisher—this program also welcomes those seeking collaborators or like-minded individuals to bring their book ideas to life. These proposals are shared in advance with participating publishers, and during the book fair, selected participants will present and discuss their ideas with interested publishers. This initiative aims not only to help publish zines but also to support the meeting of timely stories with appropriate forms. Furthermore, it seeks to create possibilities for collaboration and connection across languages, borders, and regions, linking diverse voices and practices.

More details →

북북 페스티벌은 북 페어가 단순히 책을 사고파는 소비의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출판이 태어날 수 있는 생산의 공간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런 믿음을 바탕으로, 이 프로그램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진(zine) 기획안과 흥미로운 아이디어들을 모집하여, 그것들을 이번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여러 독립출판사들과 연결합니다. 인쇄물을 만들고 싶지만 아직 출판사를 찾지 못한 예술가, 디자이너, 기획자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공개 모집을 통해 기획안을 접수받습니다. 물론 꼭 출판사를 찾는 것이 목적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신의 진을 실현해나갈 동료,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 또는 협업하고자 하는 컬렉티브를 찾는 이들 모두에게 열려 있습니다. 기획안은 북북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출판사들과 사전에 공유되며, 북 페어 기간 중에는 관심 있는 출판사들과 함께 기획안을 발표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갖게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단지 진을 출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 시대에 필요한 이야기가 적절한 형식을 만나는 과정을 돕고자 합니다. 또한 언어와 국경을 넘어 다양한 지역과 주체들이 서로의 작업을 연결하고 협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자 합니다.

자세히 보기 →

Colophon

(  ) BOOK (  ) BOOK
Independent Publishing Network Festival in Asia
Curated by
Lim Kyung yong, Sam Kim, Seojoo Han
Date
September 11–14, 2025
Venue
Goethe-Institut Korea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ARKO)
Goethe-Institut Korea
DesignSingapore Council
Graphic Design
Sam Kim, Seojoo Han
Exhibitions
Atelier HOKO, abC & DREAMERFTY


This website is made with love by Min Guhong Manufacturing.
(  ) 북 (  ) 북
아시아 독립 출판 네트워크 페스티벌
기획
임경용, 김영삼, 한석주
일시
2025년 9월 11일부터 14일까지
장소
주한독일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한독일문화원
디자인싱가포르위원회
그래픽 디자인
김영삼, 한석주
전시
아틀리에 호코, abC & DREAMERFTY


이 웹사이트는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사랑으로 만들어졌습니다.